스타트업 정글에서 당신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한 Daily News입니다. 엄선된 뉴스를 받아보시고 Insight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니콘정글 뉴스레터 에디터 🐰허슬버니🐇입니다.
간혹 어떤 스타트업이 얼마를 투자받았다더라 하는 소식을 듣고는 합니다. 이때"시리즈 A로XX 억투자유치. 시리즈 B로XXX 억투자유치"라는 식의 표현을 접하곤 합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표현이 좀 생소했는데요.
저처럼 시리즈 표현이 생소하셨던 분들이나 대략적으로는 알아도 누가 물어보면 아직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실 분들을 위해 오늘은 스타트업의 투자 단계별 의미와 그로 인한 지분율 변화에 대하여 준비해 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똑똑해져 볼까요~😎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A B C 무슨 뜻일까 (3분 텍스트)
투자받을 때 지분율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4분 영상)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A B C 무슨 뜻일까
투자 단계별, 규모별 구분
스타트업 투자를 접하다 보면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C라는 말을 자주 보게됩니다. A는 최초 투자금이 되는 시드머니, B는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품화되는 단계의 투자, C는 시장을 늘릴 단계의 투자, 느낌적으로는 이렇습니다.
투자를 A~C로 구분 짓는 것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관행이 그대로 넘어온 것입니다. 최초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은 경영권을 보호하면서 기업을 성장시킬 필요가 있었습니다. 스타트업의 자본금 보다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유입되면 창업자는 경영권을 뺏기고, 벤처 기업을 성장시킬 유인도 사라지겠죠. (이하중략)
창업을 하셨다구요! 어이구.. 왜그러셨어요.. 그래도 일단 투자를 받으실 계획이시면 지분율의 희석 및 투자 라운드 및 스톡옵션 플래닝을 잘 해보셔야겠죠. 💡 투자유치 및 지분희석 시뮬레이터를 간단히 만들어서 공유드립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 (👉 본인의 구글 드라이브로 복사하셔서 쓰셔요!)